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서울 버스 서초06

덤프버전 :

||


파일:DSCF6241.jpg

1. 노선 정보
2. 개요
3. 역사
4. 특징
4.1. 일평균 승차인원
5. 연계 철도역



1. 노선 정보[편집]


파일:서울특별시 휘장_White.svg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서초06번
기점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(정금마을)종점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(동덕여고)
종점
첫차06:00(평일·토요일) / 07:00(공휴일)기점
첫차06:45(평일·토요일) / 07:15(공휴일)
막차23:00(공휴일) / 23:30(평일·토요일)막차22:45(공휴일) / 23:15(평일·토요일)
평일배차15분주말배차토요일 15분 / 공휴일 30분
운수사명광일운수인가대수2대[1]
노선정금마을 - 이수역 - 사당역 → 서울교통공사 → 방배반딧물센터 → 방현초교 → 동덕여고 → 사당역 → 이후 역순


2. 개요[편집]


광일운수에서 운행하는 마을버스 노선.전체 정류장 목록


3. 역사[편집]


  • 개편 전 03-2번 마을버스가 전신이다.

  •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만 서초06번으로 변경되었다.


4. 특징[편집]


  • 서초16번과 겹치는 구간이 많다. 서초16번이 이 노선에서 갈라져 나온 노선이기 때문.

  • 방배3동 언덕길 구간(정자앞 ~ 방현초)이 급경사고, 이면도로라 차들이 곳곳에 주정차된 상태라 지나가기가 까다롭다.

  • 지나가는 학교가 많아(경문고, 서문여중.고, 동덕여중.고, 방현초교) 통학 수요가 많다.

  • 막차시간대는 동덕여고에서 운행종료하고 동덕여고 부근에 있는 차고지로 간다. 동덕여고에서 이수역을 가고자 한다면 23시10분(혹은 22시40분)에 정류장에 있어야 한다.

  • 명절 당일은 운행하지 않는다.

  • 반딧불센터~동덕여고 인근의 급경사 및 이면도로로 도로폭이 협소해 저상버스 운행이 불가능하다. 그래서 저상버스 투입 의무화 대상에서 제외됐다.


4.1. 일평균 승차인원[편집]


서울특별시 마을버스 서초06번
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
2013년893명-
2014년878명▽ 15
2015년923명△ 45
2016년850명▽ 73
2017년723명▽ 127
2018년690명▽ 33
2019년741명△ 51
2020년508명▽ 233
2021년440명▽ 68
2022년389명▽ 51
※ 하차 인원 미포함


5. 연계 철도역[편집]


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2-03 04:15:25에 나무위키 서울 버스 서초06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
[1] 공휴일 1대 운행